무등산 정상3봉 (무등산 국가지질공원)의정보를알아보자
무등산 정상3봉
무등산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와 전남 담양군, 장성군에 걸쳐있는 산으로, 해발 1,187m로 전라남도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무등산은 1996년 12월 3일 대한민국의 3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무등산 정상은 세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가장 높은 봉우리가 천왕봉(1,187m), 그 다음이 지왕봉(1,183m), 그리고 가장 낮은 봉우리가 인왕봉(1,182m)입니다.
천왕봉
천왕봉은 무등산의 최고봉으로, 정상에 오르면 광주광역시와 전남 지역의 전경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천왕봉은 무등산의 상징적인 장소로,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 곳입니다.
[Image of 무등산 천왕봉]
지왕봉
지왕봉은 천왕봉 다음으로 높은 봉우리로, 정상에 오르면 천왕봉, 인왕봉, 그리고 주변의 산들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지왕봉은 천왕봉에 비해 산세가 부드러워 등산하기에 비교적 수월한 편입니다.
[Image of 무등산 지왕봉]
인왕봉
인왕봉은 무등산의 세 번째 봉우리로, 정상에 오르면 천왕봉, 지왕봉, 그리고 주변의 산들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인왕봉은 천왕봉과 지왕봉에 비해 산세가 가파르지만, 정상에서 바라보는 풍경이 매우 아름답기로 유명합니다.
[Image of 무등산 인왕봉]
무등산 정상3봉 여행 팁
-
무등산 정상3봉은 등산로가 잘 정비되어 있지만, 산세가 가파르기 때문에 체력에 맞게 등산을 계획해야 합니다.
-
무등산 정상3봉을 등반할 때는 등산화, 등산복, 모자, 선글라스, 물 등 등산에 필요한 장비를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
무등산 정상3봉은 날씨가 변덕스러울 수 있으므로, 등산 전날 날씨를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등산 정상3봉의 지질적 가치
무등산 정상3봉은 주상절리, 암반, 습지 등 다양한 지질학적 형상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특히 천왕봉의 주상절리는 무등산의 대표적인 지질학적 특징으로, 높이 100m 이상, 너비 10m 이상의 거대한 주상절리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무등산 정상3봉은 지질학적 가치가 높아, 2018년 12월 14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