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는 무좀약 종류를 한번 알아보자

먹는 무좀약 종류와 부작용

무좀이란?

무좀은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질환입니다. 주로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 발톱 등에 생기며, 가려움, 각화, 각질, 수포, 염증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무좀은 쉽게 감염되고 재발하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먹는 무좀약의 종류

무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바르는 무좀약과 먹는 무좀약이 있습니다. 바르는 무좀약은 일반의약품으로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지만, 먹는 무좀약은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먹는 무좀약은 감염 부위가 넓거나, 손발톱 무좀과 같이 바르는 약으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사용됩니다. 먹는 무좀약의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트라코나졸 : 아졸계 항진균제로, 백선균과 칸디다균 등 다양한 진균류에 효과가 있습니다. 1일 1회 복용하며, 복용 기간은 족부백선의 경우 2~4주, 손발톱 백선의 경우 3~6개월 정도입니다 .
  • 플루코나졸 : 이트라코나졸과 같은 아졸계 항진균제로, 진균의 성장과 증식을 억제합니다. 1일 1회 복용하며, 복용 기간은 족부백선의 경우 4~6주, 손발톱 백선의 경우 6개월 이상입니다 .
  • 테르비나핀 : 알릴아민계 항진균제로, 진균세포를 직접 죽여서 무좀을 치료합니다. 백선균에 효과적이지만, 칸디다균이나 효모균에는 효과가 적습니다. 1일 1회 복용하며, 복용 기간은 족부백선의 경우 2~6주, 손발톱 백선의 경우 3~12개월입니다 .

먹는 무좀약의 부작용

먹는 무좀약은 드물게 간독성이나 신독성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약 복용 전에는 간수치와 신수치 검사를 받아야 하며, 복용 중에도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임산부나 수유부는 사용할 수 없으며, 피임을 해야 합니다.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의사나 약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먹는 무좀약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이트라코나졸 : 메스꺼움, 복통, 설사, 두통, 소화불량,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플루코나졸 : 메스꺼움, 복통, 설사, 간기능 이상, 피부발진, 현기증, 발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테르비나핀 : 발진, 가려움, 가벼운 복통, 설사, 복부팽만, 간기능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